본문 바로가기
로휘네 일상

초현실주의와 근대미술 중학교미술

by 이것저것 리뷰쓰는 노마드 로휘 2025. 3. 31.

1. 초현실주의(Surrealism) 개념과 특징

초현실주의는 20세기 초, 주로 1920년대에 등장한
미술 및 문학 운동으로, 꿈, 무의식, 상상력 등을
중요시하는 예술적 흐름입니다.
초현실주의는 특히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았으며, 현실 세계의 제약을 넘어서는
자유로운 표현을 강조했습니다.

특징:
현실과 꿈, 무의식의 경계를 허물고 비현실적이고
상상적인 이미지가 특징
자동기술, 꿈의 이미지, 우연의 효과 등을 활용
대표적인 작가들: 살바도르 달리, 르네 마그리트,
맥스 에른스트 등

 

네이버사전 -> 초현실주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6363&cid=40942&categoryId=32856

 

초현실주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영향을 받아, 무의식의 세계 내지는 꿈의 세계의 표현을 지향하는 20세기의 문학·예술사조. 쉬르레알리슴이라고도 한다. 초현실주의라는 말은 1917년 시인 기욤 아폴리네

terms.naver.com

반응형

2. 초현실주의의 영향과 발전

초현실주의는 문학, 영화, 미술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미술에서 초현실주의는
전통적인 회화 기법을 벗어나
다양한 실험적인 방법론을 통해 자기 표현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습니다.

초현실주의의 전개:
1910년대 후반: 다다이즘의 영향 아래에서
초현실주의의 기초가 마련됨.
1920년대: 초현실주의 선언서 발표,
르네 마그리트와 살바도르 달리 등 주요 작가 등장
1930년대: 더 많은 작가들이 초현실주의 운동에
참여하면서 국제적인 성격을 띄게 됨.

3. 근대 미술 역사

근대 미술(Modern Art)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의 미술 흐름을 포괄하며,
전통적인 미술 기법과 가치관을 뛰어넘는
다양한 실험과 혁신을 이루어낸 시기입니다.
근대 미술의 핵심은 개인의 창의성과 자아 표현을
강조한 점입니다.

-인상주의(1860-1880년대): 에드가 드가, 클로드 모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등 자연을 즉흥적으로
포착하고, 색채와 빛의 변화를 중시한 화풍.
-입체주의(1907-1914년): 파블로 피카소, 조르주 브라크: 현실을 다양한 시점에서 동시에 표현,
기하학적인 형태로 해석.
-표현주의(1905-1920년대): 에드바르트 뭉크, 에곤 실레 : 감정과 내면 세계의 표현을 중시, 왜곡된 형태와
강렬한 색 사용.
-다다이즘(1916-1920년대): 마르셀 뒤샹, 한스 아르프
전통 미술에 대한 반발과 혁신적인 개념의 탐구.

4. 초현실주의와 근대 미술의 관계

초현실주의는 근대 미술의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난
중요한 운동이자,
근대 미술의 전통적 기법과 형식에 대한 반응으로
발전했습니다. 초현실주의는 특히 미술의
'정형성'과 '이성'에 대한 비판을 포함하며,
무의식적인 표현을 통해 감정의 자유로운 발산을
중시합니다.

공통점: 두 운동 모두 기존의 예술적 규범에 도전하며,
개인의 창의성을 강조하고,
전통적인 기법을 탈피하려는 실험적 성격이 강합니다.
차이점: 근대 미술이 형식과 구성을 중시한 반면,
초현실주의는 무의식과 비논리적 사고를 중시하고,
작품의 상징적 의미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허용합니다.

초현실주의 르네마그리트

5. 초현실주의 작가들

-살바도르 달리: "기억의 지속"과 같은 작품을 통해 꿈의 세계와 현실의 경계를 허물었습니다.
-르네 마그리트: "이미지의 거울"과 같은 작품에서 현실과 비현실을 혼합하며 관객에게 의문을 제기합니다.
-맥스 에른스트: 자동기술을 활용하여 무의식적인 창작을 통해 독특한 이미지를 만들어냈습니다.

6.결론

초현실주의와 근대 미술은 예술의 근본적인 개념과 기법에 대한 도전과 혁신의 과정이었습니다.
근대 미술은 전통적인 규범을 타파하며 개인의 표현을
중심으로 발전했고,
초현실주의는 무의식, 꿈, 상상력 등을 통한 자유로운
예술적 탐구를 강조하면서
근대 미술의 한 단계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두 흐름은 이후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응형